SPC 또 사망사고… 시흥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끼임 사망, 왜 반복되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025년 5월 19일, 새벽 3시.
경기도 시흥시 소재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 A씨가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A씨는 작업 도중 컨베이어 벨트에 몸이 빨려 들어가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끝내 사망했습니다.
사망자의 나이는 50대 중반으로, 평소 근무 태도가 성실했던 장기 근속자였습니다. 이 사고는 SPC 계열사에서 반복되고 있는 **‘기계 끼임 사고’**라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분노와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 사건 개요
- 📍 사고 일시: 2025년 5월 19일 오전 3시경
- 📍 장소: SPC삼립 시화 제빵공장 (경기 시흥시 정왕동)
- 📍 피해자: 50대 여성 노동자 A씨
- 📍 사고 내용: 윤활유를 뿌리던 도중 컨베이어 벨트에 상반신이 끼여 사망
현장에 출동한 소방당국은 A씨가 이미 의식불명 상태로 발견됐으며, 두개골 손상 등 심각한 외상을 입은 상태였다고 밝혔습니다.
❗ 또 SPC? 반복되는 산재 사망
SPC는 과거에도 유사한 사고를 반복적으로 낸 전력이 있습니다.
- 2022년 10월: 평택 SPL 공장, 20대 여성 노동자 소스 교반기에 끼어 사망
- 2023년 8월: 성남 샤니 공장, 50대 여성 노동자 반죽 기계에 끼어 사망
- 2024년: 외주 인력 컨베이어 추락 사고, 손가락 절단 등 연이은 부상
특히 이번 시흥 제빵공장 사고는 2년 새 3번째 끼임 사망사고입니다.
노동자들이 입을 모아 말하듯, 이들 공장은 “죽음의 공장”이라 불릴 만큼 산업안전이 부실합니다.
🔎 사고 원인과 구조적 문제점
1️⃣ 설비의 위험성
윤활유 작업을 위해 기계 내부에 손을 넣어야 하는 구조 자체가 치명적입니다. 기계가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자칫하면 기계에 빨려 들어갈 수 있습니다.
2️⃣ 2인 1조 작업 원칙 미준수
사고 당시 A씨는 혼자 작업 중이었습니다. 법적으로 위험기계 작업은 2인 1조가 원칙이지만, 이 지침이 제대로 지켜졌는지는 의문입니다.
3️⃣ 비상정지 장치 미작동
근처에 **비상정지 장치(E-stop)**가 있었다면 사고를 막을 수도 있었지만, 위치가 멀거나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4️⃣ 반복되는 안전교육 부재
사고가 날 때마다 대책을 발표하지만, 근본적 교육 시스템과 장비 점검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cuyFMp
리빙웰 65L 대용량 컨벡션 오븐 제과 제빵 가정용 업소용 OV650 - 오븐/토스터 | 쿠팡
쿠팡에서 리빙웰 65L 대용량 컨벡션 오븐 제과 제빵 가정용 업소용 OV6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오븐/토스터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cuyGpv
밀크앤허니 생크림 크로와상 8입 (냉동), 560g, 1개 - 일반양산빵 | 쿠팡
현재 별점 4.7점, 리뷰 4491개를 가진 밀크앤허니 생크림 크로와상 8입 (냉동), 560g,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일반양산빵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경찰 및 고용노동부 대응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즉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 사고 현장 CCTV 확보
- 원청(삼립)과 하청 간 책임 분담 구조 분석
-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 중
- 사고 경위를 파악해 업무상과실치사 적용 가능성 검토
SPC 측은 사고 직후 “유족에게 깊은 사죄를 전하며,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철저히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그 말은 이미 수차례 반복되어 왔습니다.
🧠 중대재해처벌법 실효성 논란
2022년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반복되는 대형 산업재해에 대한 기업 책임을 묻기 위한 법입니다. 하지만 SPC는 여전히 사고를 낼 때마다 ‘관리 부실’을 인정하고, 실질적인 처벌은 피해가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 SPC 본사 및 대표이사에 대한 직접 처벌 가능성
- 형식적 사과와 대책보다 구조적인 안전 문화 개선 필요
📢 노동계와 시민사회 반응
민주노총, 참여연대, 시민단체들은 즉각 논평을 내고 SPC를 비판했습니다.
“죽음은 예고된 것이었고, 막을 수 있는 일이었다.”
“이윤을 위한 현장 운영의 끝은 결국 노동자의 죽음으로 돌아온다.”
노동계는 SPC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기업이라며 불매운동과 중대재해 고발을 예고했습니다.
🔧 재발 방지 대책은 가능한가?
다음과 같은 실질적 조치 없이는, SPC의 사고는 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기계 구조 개선 → 자동 윤활 장치 도입
✅ 2인 1조 작업 강제, 미이행 시 처벌
✅ 설비 전면 교체 및 안전센서 설치
✅ 매달 전직원 대상 실습 기반 안전 교육
✅ 중대재해 발생 시 경영진 형사 처벌 강행

✅ 정리하며
SPC삼립 시흥 공장에서 벌어진 이번 사고는 노동자 개인의 과실이 아니라, 구조적이고 반복적인 시스템 실패입니다.
**“일하다 죽지 않게 해달라”**는 가장 기본적인 요구조차 지켜지지 않는다면, 어떤 법도, 어떤 처벌도 의미가 없습니다.
우리는 묻습니다.
언제까지 노동자는 죽어야 합니까?
대책은 실현될 수 있습니까?
기업은 정말 변할 의지가 있습니까?
그리고 당신은, 이 죽음에 분노하고 있습니까?
#SPC삼립 #시흥제빵공장 #노동자사망 #산업재해 #산재사고 #중대재해처벌법
#노동권 #공장사고 #기계끼임사고 #SPC사건 #제빵공장사망사고 #SPC불매운동